

홈으로_공지_건강칼럼
임파선염이 한 달째 낫지 않아요… 정상인가요? [1분 Q&A]
q. 침샘염과 임파선염으로 진단받고 약을 복용 중인데, 한 달째 증상이 호전되지 않습니다. 보통 임파선염이 생기면 목에 멍울이 만져진다고 하는데, 저는 특별히 만져지는 혹이 없습니다. 이런 경우도 있을 수 있나요? 항생제와 진통소염제를 거의 한 달 가까이 복용했는데도 통증이 가라앉지 않아 걱정입니다. 보통 임파선염은 완치까지 어느 정도 기간이 걸리나요? 증상이 오래가면 큰 병원에 가서 추가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을까요?
a. 안녕하세요. 이비인후과 전문의 조우진(위드심의원)입니다.
임파선염은 체내 면역 기능을 담당하는 임파선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감기나 세균·바이러스 감염, 면역 반응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염증이 생기면 해당 부위가 붓고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며, 발열이나 전신 피로, 몸살, 두통 같은 전신 증상이 함께 동반되기도 합니다.
임파선이 커지면 흔히 목에 멍울처럼 만져지기도 하지만, 모든 임파선이 피부 바로 밑에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근육 안쪽에 있는 임파선은 겉으로 잘 만져지지 않으며, 체형이나 피하지방의 두께에 따라 촉지가 어렵기도 합니다. 따라서 '멍울이 없다'라고 해서 반드시 임파선염이 아닌 것은 아닙니다.
임파선염의 호전 시기는 염증의 원인과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단순한 감염성 임파선염은 대개 1~2주 내 호전되지만, 세균 감염이 심하거나 면역 반응이 지속될 때는 회복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한 달 이상 항생제와 소염제를 먹었음에도 통증이 계속된다면, 단순 염증 외에 다른 원인(예: 만성 염증, 주변 조직 질환, 침샘 문제 등)이 있는지 추가 검사가 필요합니다.
증상이 장기화하거나 재발할 때는 초음파 검사나 혈액검사 등 정밀 진단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큰 병원에서 이비인후과 또는 내과 전문의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확인받으시길 권합니다.